-
분양아파트 취득세 계산하기 : 분양아파트 취득세는 일반 매매와 달라요!!!생활정보꿀팁 2023. 11. 3. 17:27
아파트를 비롯한 부동산을 취득하게 되면 취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취득세는 기본적으로 과세표준에 취득세율을 곱하여 산정하는데, 분양아파트의 취득세는 일반 매매로 취득했을 때와 계산방식이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아파트를 분양받아 취득했을 때 취득세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일반 매매일 경우 취득세 계산법
아파트나 다른 부동산을 일반 매매로 취득했을 경우에는 취득가액에 취득세율을 곱하여 취득세를 계산합니다.
- 취득세 = 과세표준 x 취득세율 = 취득가액 x 취득세율 (즉, 과세표준 = 취득가액)
그리고 취득세율은 보유주택수와 조정대상지역 여부에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무주택자가 6억원 이하의 주택을 취득할 경우의 취득세율은 1% 이지만, 1주택자가 추가로 조정대상지역내 9억원 초과 주택을 취득할 경우에는 취득세율이 3%에 달합니다.
취득세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취득세율 자세히 알아보기(부동산.com) 분양아파트의 취득세 계산법
분양받은 아파트의 잔금을 완납하고 등기를 하기 위해서는 시군구청에 취득세를 신고하고 고지서를 발부받아 취득세 금액을 납부해야 합니다.
분양받은 아파트의 취득세는 일반 매매와 조금 다릅니다.
차이점은 취득가액을 산정하는 방식입니다.
일반 매매로 아파트를 구입했을 경우에는 매매금액이 바로 취득가액이 됩니다.
그럼 분양받은 아파트의 취득가액은 얼마일까요?
분양대금일까요?
아니면 옵션대금을 포함한 금액일까요?
분양받은 아파트의 취득세 계산을 위한 취득가액은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으로 산정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분양아파트에는 어떤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는 걸까요?
분양금액은 토지가액과 건물가액의 합계 금액인데, 건물가액에 10%의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옵션금액에 10%의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분양받은 아파트의 취득세 계산을 위한 취득가액은 아래와 같이 부가세를 제외하고 계산해야 합니다.
- 분양아파트 취득가액(취득세 과세표준) = 토지가액 + 건물가액(부가세 10% 제외) + 옵션금액(부가세 10% 제외)
만약 이걸 모르고 부가세를 포함하여 취득가액을 산출했다면, 취득세가 더 많게 계산이 될테고, 그 금액으로 납부했다면 말 그대로 "피 같은" 내 돈을 그냥 날리게 되는 거죠.
취득세 계산해보기
부가세를 제외하고 취득가액을 산출했다면, 취득가액에 취득세율을 곱하여 취득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보유주택수와 조정대상지역 여부에 따라서 취득세율이 달라지므로 취득세율을 정확히 산정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리고, 취득세와 항상 같이 따라다니는 농어촌특별세와 지방교육세가 있는데, 이들도 같이 계산해서 취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즉, 농어촌특별세와 지방교육세 계산 방법도 알아야 취득세 계산이 완료되는 거죠.
이렇게 복잡한 취득세를 간단히 계산해 주는 계산기가 있으면 좋겠죠?
그래서, 지방세 신고/납부 사이트인 위택스(wetax.go.kr)에서 취득세 계산기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분양받은 아파트의 취득세와 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를 계산해보고 싶으시다면, 부가세를 제외한 취득가액만 계산하신 후 아래 글을 참고하여 간단히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richinnaturefree.tistory.com/73
부동산 취득세 계산해보기 : 위택스 취득세 계산기로 정확하게 계산해줍니다!
아파트, 빌라, 토지, 상가 등 부동산을 매수하면 취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취득세는 해당 부동산을 취득한 자가 직접 시군구청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매년 7월과 9월에 날아오는 재산세
richinnaturefree.tistory.com
오늘은 분양받은 아파트의 취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분양받은 아파트는 일반 매매와 달리 부가세 10%를 제외하고 취득가액을 산정하므로 취득세 계산 및 신고 시 이 점을 꼭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생활정보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취득세 신고서 양식 파일 공유 (0) 2023.11.03 부동산 취득세 신고서 양식 다운로드 및 작성방법 (0) 2023.11.03 부동산 취득세 계산해보기 : 위택스 취득세 계산기로 정확하게 계산해줍니다! (0) 2023.11.02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위한 연금저축 가입방법 (1) 2023.10.29 2023년 연금저축 종류, 세액공제 한도와 공제율, 그리고 내 연금 조회하기 (0) 2023.10.29